yangsancc.or.kr
테마 : Enfold 메인 포토썸네일크기의 변경 – 중간사이즈로 출력되던것을 좀 더 작은사이즈로 출력 enfoldconfig-templatebuilderavia-shortcodesmasonry_entries.php 크기수정 $img_size=’masonry’ enfold theme
상세(보기)테마 : Enfold 메인 포토썸네일크기의 변경 – 중간사이즈로 출력되던것을 좀 더 작은사이즈로 출력 enfoldconfig-templatebuilderavia-shortcodesmasonry_entries.php 크기수정 $img_size=’masonry’ enfold theme
상세(보기)CentOS 리눅스에서 패키지 관리는 YUM 명령어로 합니다.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라고 합니다. YUM 명령어에는 상당히 많은 옵션이 있는데, 그 중 자주 사용하거나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YUM 옵션 보기 YUM 명령어의 옵션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1 |
~]# yum -h |
2. 패키지 목록 보기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려면 list를 붙입니다.
1 |
~]# yum list |
모든 패키지 그룹 목록을 보려면…
상세(보기)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디렉토리의 소유 권한 변경
1 |
~]# find . -type d -exec chown user:group {}\; |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파일의 소유 권한 변경
1 |
~]# find . -type f -exec chown user:group {}\; |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파일 퍼미션 변경
1 2 |
~]# find . -type f -exec chmod 604 {}\; ~]# find . -type d -exec chmod 705 {}\; |
지난 세션, 로그 일괄삭제
1 2 |
find /var/lib/php/session -mtime +7 -name sess\* -exec rm {} \; find /var/log/nginx -type f -name \*.log -exec ls -l {} \; |
세션 확인
1 |
find /var/lib/php -type f -name 'sess_*' -cmin +1440 -exec ls -l {} \; |
find 명령어로 일정기간, 특정용량 파일 삭제 및 찾기 * 일정기간 지난 파일 삭제 명령 – 7일 지난 파일 삭제 예…
상세(보기)일단 WHEEL그룹에 su를 허용 할 USER를 추가한다. GROUP파일을 추가해도 되고, usermod 명령으로 반드시 -a 옵션
1 |
[@localhost~]# usermod -a -G wheel username |
1 2 3 |
[@localhost~]# usermod -a -G wheel sharad [@localhost~]# id sharad uid=500(sharad) gid=500(sharad) groups=500(sharad),10(wheel) [@localhost~]# |
일단 수정할 파일을 백업하고,
1 |
[@localhost~]# cp -p /etc/pam.d/su /etc/pam.d/su.save |
4번라인 주석제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PAM-1.0 auth sufficient pam_rootok.so # Uncomment the following line to implicitly trust users in the "wheel" group. #auth sufficient pam_wheel.so trust use_uid # Uncomment the following line to require a user to be in the "wheel" group. auth required pam_wheel.so use_uid auth substack system-auth auth include postlogin account sufficient pam_succeed_if.so uid = 0 use_uid quiet account include system-auth password include system-auth session include system-auth session include postlogin session optional pam_xauth.so |
상세(보기)
Mysql 버전이 높아지면서 보안관련 인한 오류입니다. User 생성시 Host, User ,Password, ssl_cipher, x509_issuer, x509_subject 를 입력 해 주셔야 합니다. ssl_cipher, x509_issuer, x509_subject 값은 ” 빈값을 입력하세요.
1 2 |
mysql >INSERT INTO user (host,user,password,ssl_cipher,x509_issuer,x509_subject) -> VALUES('localhost','user',password('pass'),'','',''); |
아니면 왠지 모를 찝찝한 GRANT 처리
1 2 3 4 |
mysql >GRANT SELECT , INSERT , UPDATE , DELETE , DROP , CREATE -> ON database .* // for all tables in DATABASE database -> TO 'user' @ 'localhost' -> IDENTIFIED BY 'password' ; |
요래 하든지
상세(보기)MySQL 접속테스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localhost~]# mysql -uroot -p Enter password: Welcome to the MySQL monitor. Commands end with ; or g. Your MySQL connection id is 2 Server version: 5.1.73 Source distribution Copyright (c) 2000, 2013, Oracle and/or its affiliates. All rights reserved. Oracle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Oracle Corporation and/or its affiliates. Other names may be trademarks of their respective owners. Type 'help;' or 'h' for help. Type 'c' to clear the current input statement. mysql > |
이제는 MySQL의 인코딩 타입을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mysql >show variables like 'c%'; +--------------------------+----------------------------+ | Variable_name | Value | +--------------------------+----------------------------+ | character_set_client | latin1 | | character_set_connection | latin1 | | character_set_database | latin1 | | character_set_filesystem | binary | | character_set_results | latin1 | | character_set_server | latin1 | | character_set_system | utf8 | | character_sets_dir | /usr/share/mysql/charsets/ | | collation_connection | latin1_swedish_ci | | collation_database | latin1_swedish_ci | | collation_server | latin1_swedish_ci | | completion_type | 0 | | concurrent_insert | 1 | | connect_timeout | 10 | +--------------------------+----------------------------+ 14 rows in set (0.00 sec) mysql > |
인코딩 확인 결과 대부분의 character_set이 latin1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이럴경우 한글깨짐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크므로 latin1인코딩 타입을 utf8 타입으로 변경해주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환경일 경우 my.cnf 파일을 수정해주시면 되겠고 윈도우 환경은 my.ini 파일을 수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리눅스 환경이므로 my.cnf 파일을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localhost ~]#vi /etc/my.cnf [client] #추가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d] #추가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SET NAMES utf8" default-character-set = utf8 character-set-server = utf8 collation-server = utf8_general_ci [mysqldump] #추가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 #추가 default-character-set = utf8 |
위 인코딩 설정을 모두 잡아주었다면 데몬을…
상세(보기)service -> systemctl 서비스 상태 : systemctl status [서비스] 서비스 실행 : systemctl [start | stop | restart] [서비스] 자동실행 : systemctl [enable | disable] [서비스] 자동실행 여부 : systemctl is-enabled [서비스] 자동실행 리스트 : systemctl list-unit-files –type=service 설정파일 다시 읽기 : systemctl reload
상세(보기)우선, systemd가 이렇게 급 부상하게 될 줄은 솔직히 몰랐다. 워낙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그 중 하나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어느 순간 Fedora에 적용이 되더니 당연한 수순대로 RHEL7에 도입이 되었다. 아직 Debian/Ubuntu 계열은 기본으로 채택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릴리즈되는 버전에서 새로운 PID 1으로 자리잡게 될 것 같다. 이러한 분위기에 맞추어 systemd가 무엇이고 이에 대해서 간단히…
상세(보기)1.LILO일 경우… 리눅스 부팅시.. Ctrl+X 1) ‘LILO boot:’ 라고 나타날때 ‘linux single’라고 입력하여 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 2) ‘/etc/’ 디렉토리의 ‘passwd’파일을 편집해 주면 됩니다. #vi /etc/passwd root:R#tr443VEW43^@bd:0:0:root/root:/bin/bash 위와 같이 되어 있는 부분의 두번째’:’콜론 사이에 있는 것이 암호이므로 아래와 같이 삭제하여 저장 하시면 됩니다. root::0:0:root/root:/bin/bash 3) ‘shadow’ 라는 패스워드 방식을 사용할경우에는 ‘/etc/shadow’라는 파일을 편집해 #vi /etc/shadow root:$2$tbRTB$43enb5546nRRNNS46B5REB^%&N:10788:0:99999:7:-1:-1:134538844…
상세(보기)CentOS를 이용한 실무 웹서버 세팅을 진행했다. 설치에 사용된 배포판은 얼마전 릴리즈된 CentOS 7 x64를 이용한다. 웹서버의 경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보안을 위해서 X윈도우는 설치하지 않은채 세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나 역시도 IDC에 입고 시켜서 운용하는 서버들의 경우 모두 X윈도우를 설치하지 않는다. 로컬네트워크에서 이런저런 용도로 돌리는 서버의 경우 X윈도우를 설치해서 쓰기도 했지만 내가 세팅하는 대부분의 리눅스…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