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over 8G Ram

8기가 램에 설정파일 스크랩 합니다.   MySQL config 5.0.x, 5.1.x, 5.5.x Connections : 1000

 

Find 모든 파일 한글 인코딩 변경

오전에 리눅스에서 수십 개 이상의 디렉터리와 백여 개 이상의 파일이 있는 곳에서 과거 EUC-KR 로 인코딩 되어 있던 파일을 UTF-8로 코드 변환을 해야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혹은 윈도우의 코드페이지 949로 되어 있는 파일을 리눅스에 가지고 가서 UTF-8로 변환할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물론 쉘 프로그램을 몇 줄 짜서 작업을 해도 되지만, Linux, Mac 등이 기본으로 가지고 있는 find…

ALTER문 정리

이제서야 이걸 정리하네요. ALTER TABLE 명령어 alter table 명령어는 모르시는 분이 없듯이 테이블의 스키마를 변경 할 수 있게 끔 해주는 아주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alter table 명령어가 없으면 아주 끔찍한 일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create table…과 drop table의 남발!! 정말 끔찍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테이블의 스키마? = 테이블의 구조 관계형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할려면 이놈들을 속성(attribute)들로 뭉쳐진 의미있는 정보의 단위로 이끌어…

아파치 configure옵션

apache configure –enable-auth-digest mod_auth_digest가 제공하는 RFC2617 Digest authentication을 사용한다. 이 모듈은 정보를 일반 문자파일에 저장한다. –enable-rewrite mod_rewrite가 제공하는 규칙기반 URL 조작 기능을 사용한다. –enable-speling mod_spelling이 제공하는 URL에서 일반적인 맞춤법 실수를 고치는 기능을 사용한다. –disable-setenvif mod_setenvif가 제공하는 헤더에 따라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disable-mime mod_mime은 요청한 파일명의 확장자에 따라 파일의 행동과 내용(mime-type, 언어, 문자집합, 인코딩)을…

find 사용법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디렉토리의 소유 권한 변경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파일의 소유 권한 변경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파일 퍼미션 변경

지난 세션, 로그 일괄삭제

세션 확인

  find 명령어로 일정기간, 특정용량 파일 삭제 및 찾기 * 일정기간 지난 파일 삭제 명령 – 7일 지난 파일 삭제 예…

pam.d su 제한

일단 WHEEL그룹에 su를 허용 할 USER를 추가한다. GROUP파일을 추가해도 되고, usermod 명령으로 반드시 -a 옵션

일단 수정할 파일을 백업하고,

4번라인 주석제거

 

MySQL버전업 에러 error 1364 hy000 field ssl_cipher doesn t have a default value

Mysql 버전이 높아지면서 보안관련 인한 오류입니다. User 생성시 Host, User ,Password, ssl_cipher, x509_issuer, x509_subject 를 입력 해 주셔야 합니다. ssl_cipher, x509_issuer, x509_subject 값은 ” 빈값을 입력하세요.

아니면 왠지 모를 찝찝한 GRANT 처리

요래 하든지  

MySQL 캐릭터셋 변경

MySQL 접속테스트

이제는 MySQL의 인코딩 타입을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인코딩 확인 결과 대부분의 character_set이 latin1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이럴경우 한글깨짐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크므로 latin1인코딩 타입을 utf8 타입으로 변경해주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환경일 경우 my.cnf 파일을 수정해주시면 되겠고 윈도우 환경은 my.ini 파일을 수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리눅스 환경이므로 my.cnf 파일을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인코딩 설정을 모두 잡아주었다면 데몬을…

리눅스 패스워드 분실, 리눅스 싱글모드 부팅

1.LILO일 경우… 리눅스 부팅시.. Ctrl+X 1) ‘LILO boot:’ 라고 나타날때 ‘linux single’라고 입력하여 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 2) ‘/etc/’ 디렉토리의 ‘passwd’파일을 편집해 주면 됩니다. #vi /etc/passwd root:R#tr443VEW43^@bd:0:0:root/root:/bin/bash 위와 같이 되어 있는 부분의 두번째’:’콜론 사이에 있는 것이 암호이므로 아래와 같이 삭제하여 저장 하시면 됩니다. root::0:0:root/root:/bin/bash 3) ‘shadow’ 라는 패스워드 방식을 사용할경우에는 ‘/etc/shadow’라는 파일을 편집해 #vi /etc/shadow root:$2$tbRTB$43enb5546nRRNNS46B5REB^%&N:10788:0:99999:7:-1:-1:134538844…

워드프레스 데이터정리 쉘에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다 보면 불필요한 메타데이터가 쌓이게 된다더군요. 주로 wp-optimze 를 사용합니다만, 쉘에서 바로 확인하는 방법은 인터넷에서 검색하시면 나와요. 1. 불필요한 포스트 메타는 Post Meta Manager를 이용해 데이터 삭제 2. 불필요한 코멘트 메타는 SQL명령을 실행 먼저 아래의 코드를 이용해서 불필요한 코멘트 메타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SELECT * FROM wp_commentmeta WHERE comment_id NOT IN (SELECT comment_id FROM wp_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