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tr, lsattr 파일 보호 필수 명령 사용

lsattr 명령어 lsattr 명령어는 Linux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속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특정 파일이 어떤 속성(attribute)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예제

위의 결과에서 i 속성이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일이 변경될 수 없도록 보호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chattr 명령어 chattr 명령어는 Linux에서 파일의 속성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활용하면 파일을 보호하거나…

파일명에 변수 추가

date 명령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옵션 %Y: 4자리 연도. %m: 2자리 숫자로 월 (01-12). %d: 2자리 숫자로 일 (01-31). %H: 24시간 형식으로 시간 (00-23). %M: 분 (00-59). %S: 초 (00-59). %A: 요일의 전체 이름 (예: Sunday). %a: 요일의 축약된 이름 (예: Sun). %B: 월의 전체 이름 (예: January). %b 또는 %h: 월의 축약된 이름 (예:…

ACL (Access Control List)

ACL(Access Control List) 사용자별로 디렉터리나 파일의 권한을 줄 수 있다.특정 사용자, 그룹으로 디렉터리나 파일의 권한을 줄 수 있다.   분류 1. 일반파일의 ACL2. 디렉터리의 ACL 3. MASK   setfacl Option -m : 생성-x : 삭제 -b : 초기값 (모든 권한 초기상태) -k : default삭제   일반 파일의 ACL ACL 확인 #>touch /root/file1 #>getfacl /root/file1     ACL…

그룹에 계정 추가 & 계정에 그룹 추가

usermod 명령으로 그룹 추가 우선 usermod 명령으로 그룹에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usermod는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주로 사용하는 명령인데요 계정의 그룹을 변경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계정의 primary group 변경하기 aaa 라는 계정의 primary group을 wheel 그룹으로 변경합니다. -g 옵션을 사용합니다. (소문자) # usermod -g wheel aaa  ( usermod  -g  그룹명  계정명 )  …

crontab 활용

매일 00시 00분에 명령어 실행.. 관리자에 메일보내기 안하기 > /dev/null 2>&1 추가

 

Find 모든 파일 한글 인코딩 변경

오전에 리눅스에서 수십 개 이상의 디렉터리와 백여 개 이상의 파일이 있는 곳에서 과거 EUC-KR 로 인코딩 되어 있던 파일을 UTF-8로 코드 변환을 해야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혹은 윈도우의 코드페이지 949로 되어 있는 파일을 리눅스에 가지고 가서 UTF-8로 변환할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물론 쉘 프로그램을 몇 줄 짜서 작업을 해도 되지만, Linux, Mac 등이 기본으로 가지고 있는 find…

CentOS패키지관리 YUM

CentOS 리눅스에서 패키지 관리는 YUM 명령어로 합니다.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라고 합니다. YUM 명령어에는 상당히 많은 옵션이 있는데, 그 중 자주 사용하거나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YUM 옵션 보기 YUM 명령어의 옵션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2. 패키지 목록 보기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려면 list를 붙입니다.

모든 패키지 그룹 목록을 보려면…

find 사용법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디렉토리의 소유 권한 변경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파일의 소유 권한 변경

현재 디렉토리 하위 모든 파일 퍼미션 변경

지난 세션, 로그 일괄삭제

세션 확인

  find 명령어로 일정기간, 특정용량 파일 삭제 및 찾기 * 일정기간 지난 파일 삭제 명령 – 7일 지난 파일 삭제 예…

CentOS 7 systemd 요건 또 무엇인가?

우선, systemd가 이렇게 급 부상하게 될 줄은 솔직히 몰랐다. 워낙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그 중 하나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어느 순간 Fedora에 적용이 되더니 당연한 수순대로 RHEL7에 도입이 되었다. 아직 Debian/Ubuntu 계열은 기본으로 채택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릴리즈되는 버전에서 새로운 PID 1으로 자리잡게 될 것 같다. 이러한 분위기에 맞추어 systemd가 무엇이고 이에 대해서 간단히…

리눅스 패스워드 분실, 리눅스 싱글모드 부팅

1.LILO일 경우… 리눅스 부팅시.. Ctrl+X 1) ‘LILO boot:’ 라고 나타날때 ‘linux single’라고 입력하여 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 2) ‘/etc/’ 디렉토리의 ‘passwd’파일을 편집해 주면 됩니다. #vi /etc/passwd root:R#tr443VEW43^@bd:0:0:root/root:/bin/bash 위와 같이 되어 있는 부분의 두번째’:’콜론 사이에 있는 것이 암호이므로 아래와 같이 삭제하여 저장 하시면 됩니다. root::0:0:root/root:/bin/bash 3) ‘shadow’ 라는 패스워드 방식을 사용할경우에는 ‘/etc/shadow’라는 파일을 편집해 #vi /etc/shadow root:$2$tbRTB$43enb5546nRRNNS46B5REB^%&N:10788:0:99999:7:-1:-1:134538844…